MR-J3-B 서보앰프는 서보 시스템 콘트롤러 등과 고속 동기 네트워크(SSCNETⅢ)로 접속해서 위치데이터를 서보앰프가 읽어 운전합니다. 지령 유닛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서보모터의 회전속도,방향의 제어와 고정도의 위치결정을 실행합니다. MR-J3-B 서보앰프가 채용한 SSCNETⅢ는 광통신 방식을 채용함으로서 종래의 SSCNET에 비해 통신속도, 내노이즈성을 큰 폭으로 향상시킵니다.
설치방법
MR-J3-B는 MR-J3-A와 다르게 SSCNETⅢ는 광통신 방식을 채용하여 광통신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 상위모듈인 위치결정모듈 또는 모션CPU와 접속해야합니다. 서보 앰프 설치시에는 불연물에 설치하시기 바라며, 가연물에 직접 설치 또는 가연물 부근에 설치하면 화재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하며, 위에 올리거나 무거운 것을 얹어두지 말아야합니다. 지정한 환경 조건 범위 내에서 사용해야하며, 앰프 내부에 나사 또는 금속 조각 등의 전도성 이물질이나 기름 등 가연성 이물질이 유입되지않도록 해야합니다. 또한 서보앰프의 흡배기구(FAN)을 막으면 내부온도 상승으로 고장의 위험이 있습니다. 서보앰프는 정밀기기이므로 떨어뜨리거나 강한 충격을 주면 안됩니다. 처음 서보앰프를 설치시에 손상 또는 부품이 빠져있는지를 확인하고 설치해야합니다. 취부시의 방향과 간격은 각각의 용량에 따라 상이합니다. 7kW 이상에서 1대 설치는 경우와 2대 이상 설치하는 경우의 취부 간격을 확인해야하며, 밀착 장착은 3.5KW 이하의 서보앰프 조합으로만 가능합니다. 5KW 이상의 서보앰프의 경우는 밀착 장착을 할 수 없습니다. 서보앰프를 밀착 장착하는 경우, 취부 공차를 고려해서 바로옆의 서보앰프와 1㎜의 간격을 두어야하며, 이 경우 주위공기온도를 0~45℃로 하던지 실효부하율이 75% 이하로 사용해야합니다.
SSCNETⅢ 접속
SSCNETⅢ 케이블은 내부에 광섬유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뒤틀림 등의 힘이 가해지면 내부 광섬유가 깨짐으로 광전송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때문에 최소 휘는 반경을 확인해야하며 기기의 모퉁이 등에 눌리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SSCNETⅢ 케이블은 서보앰프의 치수, 배치를 충분히 고려해서 포선시에 최소 휘는 반경 이하가 되지 않도록 적정한 길이를 선정해야하며, 제어반의 문을 닫았을 때에 SSCNETⅢ 케이블이 문에 눌려서 케이블 굴곡 부분이 최소 휘는 반경 이하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고려해야합니다. SSCNETⅢ 케이블인 MR-J3BUS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은 25mm이고 MR-J3BUS-A 타입의 케이블의 최소 굴곡반경은 보강 피폭 케이블부는 50mm, 코드부는 25mm입니다. MR-J3BUS-B 타입의 케이블의 최소 굴곡 반경은 보강 피복 케이블부는 50mm, 코드부는 30mm입니다. 인장강도는 일반타입은 70N, A타입은 420N, B 타입은 980N으로 케이블 길이에 따라 보강 피복 케이블를 가용하기 때문에 인장 강도가 다릅니다.SSCNETⅢ 케이블은 광통신으로 이루어져있기때문에 서보앰프의 CN1A, CN1B컨넥터와 SSCNETⅢ케이블 선단에서 발생되는 빛을 직시하지 말아야합니다. 빛이 눈에 들어가면 눈에 위화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트러블슈팅
MR-J3-B 타입의 알람이 발생하였을때는 알람 해제하고 반복해서 운전을 재개하지 말아야합니다. 서보앰프, 서보모터의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발생 원인을 제거함과 동시에 30분 이상의 냉각시간을 두고 나서 운전을 재개해야합니다. 브레이크 타입의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알람이 발생하면 고장ALM이 OFF가 되고 서보모터는 다이나믹 브레이크가 동작해서 정지합니다.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서보앰프의 표시부에 E.숫자로 표기가 되는데 10번으로 표시되는 경우는 전원 전압이 저하된 경우에 표시가되며 전원용량 부족으로 서보앰프가 전원 전압이 낮음을 알리는 경우와 모선접압이 강하되어 알람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전원용량부족은 전원입력용량을 잘못입력하여 생기는 경우여서 입력전압을 변경하면 해결되지만 모선전압강하의 경우는 서보앰프 내부의 컨버터 부분이 소손되어 발생하는 알람이므로 서보앰프를 수리 또는 교환해야합니다. 이와같이 12번은 메모리 이상, 13번은 클럭 이상, 16번은 검출기 이상, 17번은 기판이상 등 각각의 번호로 에러현상을 트러블슈팅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서보앰프를 오래동안 사용하다보면 24번 알람인 주회로 이상이 많이 발생하는데 주회로 이상 알람은 서보앰프의 서보모터 동력선인 U상,V상,W상이 지락되어 발생하는 알람으로 오랫동안 서보앰프를 구동하면서 열화 또는 내부 부품의 수명저하로 인한 알람내용입니다. 추가로 동력선을 서보앰프에서 제거하고 서보앰프에 전원을 인가했을때에도 알람 24번이 발생한다면 서보앰프의 주회로가 고장난것으로 확인되어 서보앰프를 수리하거나 교환해야합니다.
다운로드
'MITSUBISHI' 카테고리의 다른 글
MR-J2S-A 매뉴얼, 기능과 구성, 설치방법, 운전방법 (0) | 2023.07.03 |
---|---|
리니어 서보모터 기술자료집, 취급, 점검, 접속 (0) | 2023.06.29 |
MR-J3-A 매뉴얼, 기능과 구성, 신호와 배선, 기동순서 (0) | 2023.06.22 |
GX Works2 Version 1오퍼레이팅 매뉴얼, 구성, 기본 조작, 설정 (0) | 2023.06.21 |
MELSEC iQ-R CPU 모듈 매뉴얼, 모듈 동작, 기능, 디바이스 (0) | 2023.06.21 |